반응형

전체 글 568

엑셀 배우기(15) - 복사, 붙여넣기, 선택하여 붙여넣기(3)

8. 원본 열 너비 유지하면서 붙여넣기 시트가 하나뿐이 없으므로 시트 아래쪽의 + 버튼을 눌러 시트를 하나 추가합니다. ① Sheet1을 클릭하여 Sheet1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마우스로 A2셀부터 M27셀까지 끌어서 A2셀부터 M27셀까지 범위를 선택하고, 복사 명령을 누릅니다. ② Sheet2를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그리고, A2셀을 클릭하고 붙여넣기를 클릭합니다. ③ 그러면 Sheet1의 내용이 Sheet2에 붙여 넣어지는데 열 너비가 좁아서 일부는 내용이 #######로 보여서 내용을 알 수 없고 A열은 열 너비가 너무 넓고, 열 너비가 일정합니다. (해결책 1) ① 열 이름 A라고 쓰여 있는 부분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채로 A부터 M까지 끌어서 A열부..

Excel 2022.07.27

엑셀 배우기(14) - 복사, 붙여넣기, 선택하여 붙여넣기(2)

아래 파일을 가지고 실습을 하겠습니다. 4. 값으로 붙여넣기 아래와 같은 표에서 310점을 찾기 위해, Ctrl + F키를 누르거나, 홈 탭에서 찾기 및 선택을 누른 후 찾기 메뉴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찾기 및 바꾸기 창이 표시되는데, 찾을 내용에 310이라고 입력하고 '다음 찾기' 버튼을 누르면 '검색하는 항목을 찾지 못했다'는 메시지 창이 표시되는데, 이것은 수식으로 입력한 경우 값으로 찾지 않고 수식에서 찾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찾을 내용에 5를 입력하고 다음 찾기를 하면 B9셀에 커서가 위치하는데 수식에 5가 들어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값에 5가 없더라도 B9셀을 찾은 것입니다. 따라서, 이럴 때 원하는 값을 찾으려면 수식이 아깝기는 하지만, 수식을 값으로 바꾼 다음 찾아야 합니다. 수식..

Excel 2022.07.26

엑셀 배우기(13) - 복사, 붙여넣기, 선택하여 붙여넣기(1)

컴퓨터의 장점 중 하나는 복사와 붙여넣기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만큼 자주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죠. 1. 실행방법 엑셀에서 명령(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은 한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복사와 붙여넣기도 단축키, 리본 메뉴, 바로가기 메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가. 단축키 엑셀이든 워드든 아래 한글이든 복사는 Ctrl + C, 붙여넣기는 Ctrl + V키입니다.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C 또는 V키를 누르면 됩니다. 요즈음은 마우스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그래도 단축키를 이용하면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잘라내기는 Ctrl + X. 되돌리기(취소)는 Ctrl + Z까지는 다른 프로그램과 같은데, 다시 실행은 ..

Excel 2022.07.25

엑셀 배우기(12) - 테두리, 행 높이, 열 너비, 셀 병합(2)

나. 간단한 기구표 만들기 아래와 같은 기구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를 응용하면 더 복잡한 표도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엑셀의 특징 및 단점이 열너비가 위 아래로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기구표를 그리려면 열 너비를 작게 만든다음 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열 너비를 한글 한 글자인 2바이트, 다시 말해 2로 바꿉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을 다 선택해야 하는데, 불편하므로 A열과 1행의 왼쪽 위 모서리를 클릭해서 셀 전체를 선택합니다. - A열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은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열 너비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 때 회색으로 표시된 셀 영역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행높이 메뉴만 있으므로 반드시 A 등 열 표시 영역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야..

Excel 2022.07.22

엑셀 배우기(11) - 테두리, 행 높이, 열 너비, 셀 병합(1)

1. 테두리 우리나라는 테두리를 참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선으로 둘러싸인 틀이 있어야 문서도 예뻐 보이고, 제대로 만들어진 것 같죠. 이것에 대해 알아보고 실습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테두리뿐만 아니라, 테두리를 그리다 보면 따라오는 행 높이, 열 너비, 셀 병합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봅니다. 2. 메뉴의 위치 가. 테두리 및 셀 병합 ① 홈 탭 글꼴 그룹에 격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현재는 아래쪽 테두리라고 표시된 것이 테두리를 그리기 위한 명령이고, 오른쪽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이 셀 병합 메뉴입니다. 아래쪽 테두리 오른쪽의 콤보 상자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크게 테두리, 테두리 그리기, 다른 테두리가 있고, 테두리와 테두리 그리기 아래에는 세부 메뉴가 있습니다. ② Ctrl + 1을 ..

Excel 2022.07.21

부산 해운대 일출 및 동백섬 일주기

부산 해운대에 와서 네이버를 검색해보니 5:34에 일출이라는데 해 뜨는 위치를 감 잡을 수 없어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다가 빌딩 사이가 붉어지길래 잠시 기다리니 황금빛 태양이 빌딩 사이로 솟아오릅니다. 너무 멋있어서 계속 유튜브 쇼츠(Youtube Shorts)를 찍는데 점점 밝아져서 똑바로 쳐다볼 수가 없습니다. 자연은 언제나 있는 그대로 우리에게 다가와 감동을 줍니다. 바닷가에 자리 잡고 있는 황옥공주 인어상도 전설은 슬프지만 멋진 모습을 보여줍니다. 전설은 "바다 건너 인어나라 나란다 국에서 무궁나라 은혜 왕에게 시집온 황옥공주가 늘 고국을 잊지 못해 보름달이 뜨는 밤바다 황옥에 비친 고국을 보며 그립고 슬픈 마음을 달랬다"는 내용입니다. 아래는 광안대교와 누리마루 APEC 하우스입니다. "누리마루..

낙서장 2022.07.20

엑셀 배우기(10) - 셀 주소 또는 범위 등에 이름을 정의하고 수식에 사용하기(2)

3. 이름 적용 : 기존 수식에 이름 적용하기 =2*b2*b1이라고 수식을 입력했는데, 셀 주소 등 참조 대상을 이름으로 바꾸는 기능입니다. 다시 말해 b2를 이름인 원주율로 바꾸고, b1을 반지름으로 바꾸는 기능이 이름 적용하기입니다. 이름 관리자 창이 열려 있다면 닫고 B3셀과 B4셀의 pi를 b2로 바꿉니다. 이럴 때는 Ctrl + H키 누르거나, 홈 탭에서 찾기 및 선택을 누른 다음 바꾸기를 누르면 찾기 및 바꾸기 대화 상자가 표시되는데, 찾을 내용에 pi, 바꿀 내용에 b2라고 입력한 다음 모두 바꾸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2개 항목이 바뀌었다는 메시지가 보이고, 확인 버튼을 누르고 닫기 버튼을 누르면, 수식의 pi가 모두 B2로 바뀌었고, B3셀과 B4셀의 #NAME? 에러도 없어졌습..

Excel 2022.07.20

엑셀 배우기(9) - 셀 주소 또는 범위 등에 이름을 정의하고 수식에 사용하기(1)

더할 범위, 찾을 범위, 이자율 등에 이름을 지정하면 수식을 사용할 때 범위 지정하기도 편리하고 나중에 수식을 볼 때도 이해하기 편리해 좋습니다. 1. 이름 지정하기 이름 지정은 이름 상자에 입력하는 방법, 이름관리자에서 만드는 방법과 이름 정의 명령을 이용하는 세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자료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가. 이름 상자에 이름 입력하는 방법 원주율 B2셀을 클릭하면 왼쪽 위 셀 주소가 표시되는 빨간색으로 표시한 사각형 부분이 이름 상자입니다. 이름 상자를 클릭하고, B2를 원주율로 변경하고 엔터키를 치면 B2셀의 이름이 원주율이 됩니다. 그러면 원주율이라는 이름을 이용해 원의 둘레와 원의 면적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1) 원의 둘레 구하기 아래 화살표키를 누르거나 마우스 왼쪽 ..

Excel 2022.07.19

엑셀 배우기(7) - 고급 필터

1. 필터와 비교 필터는 데이터 영역에서 필터를 설정하고, 그 결과 데이터 영역 내에서 해당되는 데이터만 표시되는데 비하여 고급 필터는 데이터 영역 밖에서 필터 조건을 지정할 수 있고, 필터와 동일하게 데이터 영역에 결과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고급 필터에는 '동일한 레코드는 하나만' 표시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2. 고급 필터 명령 고급 필터 명령은 데이터 탭에서 필터 명령과 함께 자리 잡고 있습니다. 3. 고급 필터 명령 예제 필터 명령을 설명했던 최종 데이터를 사용하겠습니다. 필터 조건과 표시할 영역을 별도로 지정한다는 것 말고는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가. 현재 위치에 필터 위와 같이 데이터 영역 아래 C29셀에 거래처라고 입력하고, C30..

Excel 2022.07.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