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Fi는 보안에 취약한가 보안이 강화된 회사나 단체에서는 Wi-Fi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LTE 모뎀인데, USB 단자를 통해서 Ethernet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Wi-Fi서비스가 안 되는 것은 아니고, 전원만 있다면 보조배터리, 자동차 USB 포트, 노트북 USB 포트에 꽂아 Wi-Fi AP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LTE 모뎀이란
구매한 LTE 모뎀입니다. USB 플러그가 있고, 4G라고 쓰여있으며, 왼쪽 아래를 보면 LTE 신호 표시, 메시지, 와이파이 신호 표시 및 등이 있습니다.
LTE 모뎀(Wingle)
|
모바일 핫스팟
|
KT 에그, SKT 포켓파이
|
- 이더넷과 Wi-Fi 모두 사용 가능
|
- Wi-Fi만 가능
|
- Wi-Fi만 가능
|
- 요금제의 모바일 데이터 사용
(데이터 쉐어링 또는 알뜰폰 유심)
|
- 요금제의 모바일 데이터 사용
|
- 별도 데이터 사용
(10G에 11,000원 정도)
|
- 기기비 별도
(국내 구매보다 알리 구매가 더 저렴)
|
- 별도 기기 불 필요
|
- 기기비 별도(도시락은 임대)
|
- USB로 연결된 배터리 이용
|
- 스마트폰 배터리 이용
|
- 배터리 내장
|
2. LTE 모뎀 사양
Aliexpress에서 보면 비슷한 LTE 모뎀이 많이 있습니다. LTE 모뎀 본체 뒷면에는 Wingle이라고 써놓고, 제품명은 dongle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CAgZM/btrI7MYaBQu/MwsqkgKbKCjbx1MwsjUiTK/img.png)
나라별로 LTE 주파수대가 다르므로 사용하는 통신사의 주파수대를 지원하는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LTE 모뎀 나라별 지원 주파수대](https://blog.kakaocdn.net/dn/dwlvdf/btrI2VVCjeQ/uCrkVXMrZalYgpgjKUEvMK/img.png)
3. 설치시 참고사항
가. 데이터 쉐어링 유심 개통
- LTE 모뎀을 사용하려면 USIM을 본체에서 넣기 때문에 데이터 쉐어링 개통이 필요합니다. KT, SKT 모두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알뜰폰도 잘 찾으면 데이터 쉐어링을 제공해주는 요금제가 있습니다.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 - 2대까지 무료](https://blog.kakaocdn.net/dn/boFw33/btrI1WOVKhG/jINagSFk8VM68CankqkLAk/img.png)
KT의 경우 LTE 데이터 쉐어링 요금이 월 8,250원이지만 2대까지는 무료이기 때문에 괜찮은 서비스입니다. 사용하지 않는 USIM 이 있으면 KT 플라자에 가서 데이터 쉐어링 해달라고 신청하면 됩니다. 일반 서비스센터 가면 돈이 안되는지 잘 안 해줍니다. 만약 USIM이 없다면 1만 원 정도에 사면됩니다.
나. 유심 어댑터 필요
LTE 모뎀에는 일반 유심이 들어가기 때문에 나노 또는 마이크로 유심이라면 별도 어댑터(두 번째와 세 번째)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노 유심을 일반 유심으로 변환하는 어댑터(아래 사진 가운데)가 별도로 있는데, 없어서 복잡하게 2개(나노 유심을 첫 번째에 넣은 후 세 번째에 삽입)를 썼네요.
![유심 규격 및 핀](https://blog.kakaocdn.net/dn/vTykn/btrI6qgIYHK/g6u73qpzfnFygTkQjb1iL1/img.jpg)
다. 설정 사이트 : http://192.168.8.1
처음 사용할 때는 반드시 PC USB에 LTE 모뎀을 꽂아 설정을 해야 합니다.
http://192.168.8.1에 자동으로 접속되지 않으면 PC나 노트북에서 이동식 디스크(USB)의 autorun.exe를 실행하면 됩니다.
![LTE 모뎀 설정 화면(인터넷)](https://blog.kakaocdn.net/dn/bphZIl/btrI7NbF2jz/NOA5JXdFkIlPhNe3KabfVK/img.png)
- 위 화면은 이미 설정이 끝나 모바일 네트워크에 WLAN(Wireless LAN)으로 연결된 상태입니다.
- 연결 시간 및 수신 바이트 수 등 표시가 있고, 오른쪽에 SD 파일 보기 버튼이 있습니다.
라. 프로필 설정(APN)
![](https://blog.kakaocdn.net/dn/zJtsL/btrI2dbRpEJ/jyoOeJo98u8Zk6MrpswL9K/img.png)
통신사별로 다릅니다.
skt : lte.sktelecom.com
kt : lte.ktfwing.com
LG U+ : internet.lguplus.co.kr
한 번만 설정이 완료되면 보조배터리에 꽂아도 작동합니다.
만약, 통신사를 바꾸게 되면 위 프로필 설정만 바꾸면 되는데, PC에 LTE 모뎀을 USB에 꽂은 상태에서 해야 합니다.
마. 초기 비번 변경
초기 아이디 및 비번 모두 admin인데, 설정 - 시스템 - 암호 수정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YbsN/btrIYDBSuel/KKO0GKhEStCQhqQw79uvrK/img.jpg)
바. 휴대폰에서 설정 바꾸기
아래와 같이 USB 충전기에 LTE 모뎀을 꽂은 다음 220V 콘센트에 꽂고 잠시 기다리면 3개에 불이 모두 들어오는데, LTE 모뎀이 4G에 접속해서 Wi-Fi 신호를 보내고 있는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wV2rx/btrI6q2eVrj/ZR7t6D74AXKwWu3dp27SiK/img.jpg)
휴대폰에서 연결 - Wi-Fi를 클릭하고, LTE 모뎀명을 클릭해서 LTE모뎀의 와이파이로 접속한 후
![스마트폰에서 LTE 모뎀 와이파이에 접속한 화면](https://blog.kakaocdn.net/dn/b5HAnu/btrIXWBJHMB/YxcRJIU6CceZkyHw5ZA1j0/img.jpg)
192.168.8.1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 화면이 나오므로 '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기'를 눌러 위 설정 화면이 나오도록 합니다.
와이파이를 켜고 끄는 것은 로그인 후 설정 - WLAN 기본 설정에서 'SSID 브로드 캐스트'를 활성화(와이파이 켜기) 또는 비활성화하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ElcO5/btrI2VBhkpp/NMmllTVdwSKyUTTefSGSa0/img.jpg)
4. 속도 측정
위치 및 시간대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한번 측정한 값을 참고로 기재합니다.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인데도, 모바일 네트워크 속도의 1/5 정도뿐이 안 나오네요. 그리고 이더넷이 와이파이보다 다운로드 속도가 조금 빠르네요.
LTE
|
LTE 모뎀
|
|
Ethernet
|
Wi-Fi
|
|
다운 : 101Mbps
업 : 10.9Mbps
|
다운 : 18.55Mbps
업 : 1.99Mbps
|
다운 : 13.8Mbps
업 : 2.94Mbps
|
(스마트폰의 모바일 네트워크 LTE 속도 측정)
![](https://blog.kakaocdn.net/dn/0wW5K/btrI1iLxDk5/0oVzGeKi85IkNsjb91tcyK/img.jpg)
(노트북에서 LTE 모뎀의 Ethernet 속도 측정)
![](https://blog.kakaocdn.net/dn/kCMo3/btrI9mkAYXW/KC833QKQR5iLPWG3Ydxk5k/img.png)
(LTE 모뎀의 Wi-Fi 속도 측정)
![](https://blog.kakaocdn.net/dn/bm6BHo/btrI2xHR3Xh/UZnQhrh8OFOfzjlu1JlF2k/img.jpg)
5. 사용방법
- 노트북 USB에 꽂을 수도 있고, USB 타입이기 때문에 USB 단자가 있다면 일반 USB 충전기, 보조배터리, 차량용 USB 충전기 어디든 꽂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노트북에 꽂으면 Ethernet과 Wi-Fi 둘 다 되는데, 다른 장비에 꽂으면 Wi-Fi만이 가능합니다.
- 신기하게 데이터 쉐어링 유심 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면, LTE 모뎀 본체의 모바일 네트워크와 와이파이 사이의 문자 메시지 표시에 불이 들어오고, LTE 모뎀 설정 사이트(http://192.168.8.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이더넷 및 와이파이 설정 화면(노트북)
노트북(PC)에서는 이더넷과 와이파이가 모두 가능하고, 이더넷으로 연결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2abvu/btrI2dbRpF4/GKExQPYNLQz5pK8ItTewhk/img.png)
또한 노트북의 경우는 마이크로 5핀 포트에 USB to Micro 5핀 변환 케이블(OTG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USB 포트를 하나 확보하여 USB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UBS 허브이긴 하지만요.
![](https://blog.kakaocdn.net/dn/FdcXt/btrIYCpsLaD/HwUiKxsxDspuNFnCCtCSV1/img.jpg)
'전자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런데이 앱 설치 및 워치5픈런 미션 참가 신청 (0) | 2022.08.18 |
---|---|
갤럭시 워치5 Pro 충전 독 거치대 설치 방법 (0) | 2022.08.17 |
갤럭시 워치5 Pro 개봉기 (1) | 2022.08.16 |
8.15(월)까지 갤럭시 워치5 체험단 신청(구매는 8.12로 종료)(8.13 수정) (0) | 2022.08.12 |
Wi-Fi가 차단된 곳에서도 사용 가능한 USB형 LTE 모뎀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