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EFT28

좌표를 이용해 엑셀에 도면 표시하기(3) (라) For ~ Next 반복문 실행 For i = 2 To 21 BottomRow = 작은값행(Sheets(3).Cells(i, 2).Value, eastRange) topRow = 작은값행(Sheets(3).Cells(i, 3).Value, eastRange) RightCol = 작은값열(Sheets(3).Cells(i, 4).Value, northRange) + 1 LeftCol = 작은값열(Sheets(3).Cells(i, 5).Value, northRange) - 1 Set shp = ActiveSheet.Shapes.AddShape(msoShapeRectangle, Cells(topRow, LeftCol).Left, Cells(topRow, LeftCol).Top, _ Cells(topRow.. 2023. 11. 16.
좌표를 이용해 엑셀에 도면 위치 표시하기(1) 위와 같이 도면별 위, 경도(통상적인 위, 경도와 다르지만 그렇게 표시합니다)가 있을 때 도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셀의 위치 알아내기 먼저 위치와 관련한 셀의 속성을 알아야 합니다. 셀은 왼쪽 위를 기준으로 열 너비와 행 높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 셀의 왼쪽, 위 구하기 ① 셀의 왼쪽 위치 구하기 개발도구 - Visual Basic을 실행하고, 삽입 - 모듈 메뉴를 누르면 모듈과 Module1이 추가됩니다. 오른쪽 편집기 창에 sub cellinfo라고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릅니다. 그리고, 왼쪽 위치는 셀 주소를 쓴 후 .left라고 하면 됩니다. 다시 말해 range("a1").left 인데 화면에서 확인해야 하므로 debug.print를 앞에 추가하면 됩니다. debug... 2023. 11. 13.
윗 셀 값으로 채우기 한 셀에 들어 있는 행정구역명을 공백을 기준으로 2개 열로 나누는 것을 다뤘었는데, 이번에는 비어 있는 셀을 윗셀 값으로 채우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를 보면 왼쪽에 서울특별시가 있고, 산하 구명이 보이는데,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구명왼쪽인 F열에 서울특별시가 채워져야 합니다. 1. 이동 옵션 - 빈 셀 이용하기 빈 셀만 찾아서 그 위의 셀로 채우기 위해서는 ① 빈 셀이 있는 F4셀부터 F열의 마지막 셀까지 선택해야 하므로 Shift +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End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293행까지 모두 선택됩니다. ② 홈 탭 - 찾기 및 선택 명령 아래 이동 옵션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동 옵션 창이 표시되는데, 빈 셀 왼쪽 옵션 버튼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③ .. 2023. 8. 9.
한 열의 데이터를 두 열로 분할 이전에 데이터 탭의 텍스트 나누기와 파워 쿼리의 열 분할에 대해 다뤄봤는데, 이번에는 다른 경우의 데이터 분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계청에서 조회한 행정구역(시군구)별 주민등록세대수 자료인데, 다운로드하여 보니 서울특별시와 종로구 등의 데이터가 열을 달리해야 데이터 다루기가 편한데 같은 열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다른 열로 만드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구조 파악서울특별시는 첫째 자리부터 시작하고, 종로구는 위치를 =FIND("종",A4) 수식으로 알아보니 4부터 시작합니다. 2. 분리하는 방법 가. 실패1부터 시작하는 것과 4부터 시작하는 것을 두 개의 열에 나눠서 표시하면 됩니다. F4셀의 수식은 복사할 때 방해가 되므로 F열과 G열을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삽입 메.. 2023. 8. 8.
텍스트로 된 수식의 값 구하기(3) - Let, Switch 함수 이용 1. Let과 Switch 함수 둘 다 Microsoft 365용 Excel, Mac용 Microsoft 365용 Excel, 웹용 Excel , Excel 2021, Mac용 Excel 2021에서만 사용 가능한 최신 함수입니다. 가. Let 함수 (1) 정의 및 구문 Let함수는 이름에 값을 할당해서 계산 후 결과 값을 돌려주는 것으로 계산식을 이름에 할당하고, 다시 계산할 수 있는 유용한 함수이며, 구문은 아래와 같이 이름, 값, 계산식 또는 이름2 식을 여러 번 지정할 수 있으며, 마지막 인수는 반드시 계산식으로 끝나야 합니다. =LET(name1, name_value1, calculation_or_name2, [name_value2, calculation_or_name3...]) (2) 사용 예.. 2023. 7. 18.
텍스트로 된 수식의 값 구하기(2) - 사칙 연산자 적용 "텍스트로 된 수식의 값 구하기(1)"에서는 곱하기만을 다뤘는데, https://lsw3210.tistory.com/entry/%ED%85%8D%EC%8A%A4%ED%8A%B8%EB%A1%9C-%EB%90%9C-%EC%88%98%EC%8B%9D%EC%9D%98-%EA%B0%92-%EA%B5%AC%ED%95%98%EA%B8%B01-%EA%B3%B1%ED%95%98%EA%B8%B0%EB%A7%8C 이번에는 *뿐만 아니라 +, /, - 등 사칙 연산을 제대로 계산해서 값을 구하는 것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1. 연산자 위치 알아내기 "텍스트로 된 수식의 값 구하기(1)"에서도 연산자인 *의 위치를 =find("*",a3) 수식을 이용해 구했으나, 사칙 연산 기호가 모두 적용돼야 하므로 위 수식을 수정해야 합니다.. 2023. 7.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