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글 URL이 깨져서 보이는 이유는, 웹 주소(URL)는 기본적으로 영문 알파벳과 일부 특수 문자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글 같은 문자는 자동으로 퍼센트 인코딩(Percent Encoding) 방식으로 변환됩니다.
아래와 같이 URL이 한글로 잘 표시돼도
메모장이나 여기에 붙여 넣으면 아래와 같이 이상한 문자로 표시됩니다.
Microsoft 365의 달라진 메모 기능
1. Microsoft 365에서 메모와 노트로 분리 종전에는 메모(Comment) 기능만 있었는데, Comment(한글은 메모)와 Note(한글은 노트)로 나뉘었습니다. (영문 모드) (한글 모드) 그러나 과거 버전을 기준으로 하면
lsw3210.tistory.com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려면
https://www.url-encode-decode.com/ 사이트에 접속한 후
왼쪽 창에 URL을 붙여 넣고, 아래 Decode url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과 같이 한글로 제대로 보이므로
이것을 복사한 후 여기에 붙여 넣으면 됩니다.
https://lsw3210.tistory.com/entry/Microsoft-365의-달라진-메모-기능
신기하죠?
반응형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검색(File Search)이 뭐지? (0) | 2025.04.14 |
---|---|
노트북 덮개를 닫아도 화면 꺼지지 않게 하기 (0) | 2024.06.04 |
제어판 클래식으로 보기 (0) | 2024.06.03 |
PC 디스플레이 설정에 관한 몇 가지 (0) | 2024.04.13 |
한글로 인해서 URL 링크가 깨질 때 (4)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