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8

숨긴 파일, 시스템 파일 보기 등 윈도우 10 탐색기 사용법 워낙 기본적인 내용이라 윈도우를 공부하게 되면 대부분 알 수 있는 내용이지만 간과할 수도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는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몇 개 폴더나 파일은 보이지 않게 하고, 숨긴 파일 등 보기를 선택했을 때만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1. 숨긴 파일 및 폴더 ​ 대표적인 숨긴 파일은 C:\폴더의 hiberfil.sys, pagefile.sys 등이 있고, 숨긴 폴더는 윈도우와 관련해서는 $Recycle.Bin(휴지통), $SysReset 등이 있습니다. ​ Total Commander 앱을 이용하면 쉽게 파일 또는 폴더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속성에 h(idden)(숨긴 파일), s(ystem)(시스템 파일 또는 폴더) 등이 표시됩니다. Total Command.. 2020. 8. 11.
윈도우 탐색기, 파일 목록이 날짜별로 구분 표시되는 이유와 표시 변경하기 종전에는 파일명 또는 날짜순으로만 정렬 표시되는 것을 봐서, 아래와 같이 날짜별로 그룹이 된 후 그 안에서 파일명 또는 날짜순으로 표시되어 당황했었는데, ​ 이렇게 되는 이유는 탐색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정렬 기준이 아닌 분류 방법을 누르면 알 수 있는데, 수정한 날짜에 체크가 되어 있기 때문에 날짜별로 그룹이 생기고,그룹이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것입니다. ​ 따라서, 이것을 없애려면 '수정한 날짜'에 체크 되어 있는 것을 '(없음)'으로 바꾸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날짜별 그룹이 없어집니다. ​ 보기 방식이 '아주 큰 아이콘'으로 되어 있는 것을 파일명 등 파일 목록으로 보이게 하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아래와 같이 '보기' 메뉴에서 '자세히'를 누르면 됩니다. ​ 그.. 2020. 8. 7.
두 개의 파일 창이 나란히 배열된 막강한 파일관리자, Total Commander 과거 도스(DOS) 시절에 Norton Utility와 Norton Commander란 유명한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그야말로 까마득한 옛날 일이죠. 그 때 우열을 다투던 것이 Total Commander 였는데, Total Commander는 살아 남고, Norton Commander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 ​ 1. 설치 URL https://www.ghisler.com/download.htm ​ 2. Total Commander의 특징 ​ o 두 개의 파일 창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어 창 간에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매우 편리합니다. 또한 화면 맨 아래줄을 보면 보기, 편집, 복사, 새 이름/이동, 새 폴더, 삭제, Alt+F4 종료 등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버튼으로 되어 있습니다. ​.. 2020. 8. 6.
Youtube 동영상 다운로드 앱, Stellar Browser 유튜브는 일반 버전에서는 다운로드가 안되고, Premium 버전에서만 동영상이나 MP3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데, 이것은 Premium이 아니라도 동영상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앱입니다. 또한 시리즈물인 경우 한꺼번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유튜브뿐만 아니라 다른 사이트에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lay 스토어에서는 다운 받을 수 없고 인터넷에서 다운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업데이트 버전이 나오면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라고 메시지가 나오는 등 지속적으로 관리가 되는 앱이니 좋습니다. 1. 설치 ① 위 파일을 휴대폰에 저장합니다. 다운로드 폴더는 Download 입니다. ② 파일관리자에서 다운로드 폴더로 이동한 후 1569737482527.apk 파일을 터치해서 설.. 2020. 8. 3.
지번 형식 변환하기 2 (사용자 정의함수) 아래 사용자 정의함수를 추가기능에 등록하고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런데 이전에 위 추가기능 파일을 등록하신 분이라면 먼저 해당 폴더의 파일을 삭제하고 추가 기능의 체크를 해제한 다음 엑셀을 닫고 열어서 다시 등록을 해야 합니다. 추가기능 파일 제거가 잘 안되면 계속 등록하라는 메시지가 나와 등록을 해도 Visual Basic을 보면 등록이 안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잘 안되면, 아래와 같이 개발도구 - 매크로 보안 - 신뢰할 수 있는 위치에 Addins 폴더를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종전 사용자 정의함수는 지번이 하이픈(-)으로 연결된 경우만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었는데, 지번이 대시(ㅡ)로 연결된 경우도 적용되도록 하이픈위치란 변수의 정의를 변경했습니다. (종전) (변경) 하이픈위치 = InStr(1,.. 2020. 7. 31.
지번 형식 변환하기 1 (if, not, iserror, or, left, mid, find, substitute 등 함수 이용) 행정전산망의 지번 데이터는 엑셀로 변환시 문제점을 차단하기 위해서인지 본번과 부번을 연결할 때 ㅡ(대시)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48-3처럼 하이픈이 아니라 48ㅡ3 식으로 대시로 되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위 데이터는 두가지를 비교하기 위해 15번까지는 ㅡ, 16번부터는 -으로 지번을 연결했습니다. 1. 대시(ㅡ)를 하이픈(-) 으로 바꾸기 먼저 원시 데이터는 지우기 않기 위해 C2부터 C22까지 복사 후 E2에 붙여넣기를 합니다. 붙여 넣은 데이터를 보니 숫자만 이미 숫자 형식으로 표시되어, 오른쪽 정렬이 되었습니다. 홈 - 찾기 및 선택 - 바꾸기 메뉴를 누른 후, 찾을 내용에 대시 표시를 넣는데, 기호를 찾으려면 어려우므로 C2셀의 대시 부분을 끌어서 선택한 다.. 2020. 7. 30.
반응형